Study/Audio

[Audio] Speaker 성능

미자짱 2023. 11. 16. 10:46
  1. SPK 유형 (Passive / Active)
  • Passive

: DAC와 같은 audio interface 에서 보내는 line signal을 직접 구동할 수 없어 별도의 amp 가 필요

+ 전기적 음향적 매칭 필요

  • Active

: Power amp가 내장되어 있으며, 대부분의 audio interface에서 생성된 line level signal을 바로 공급 받을 수 있음

+ amp를 내장하고 있어 결선이 간단, 위치 선정이 자유로움

 

2. 주파수 응답 (Frequency Response)

: 저음에서 고음까지 사운드를 재생하는 주파수 대역

(일반적인 인간의 가청주파수 20Hz ~ 20kHz)

주파수 범위만 포함하는 건 매우 제한적임

주파수에 따른 레벨 변동을 ± 편차로 표시하는 것이 좋음

플랫한 사운드 : 모니터 시스템을 통해서 재생되는 모든 사운드가 원래 소스와 똑같이 재생되어야하는데 이때 Frequency Response 가 중요함

3. Sensitivity

: 스피커의 효율을 나타내는 값

감도가 높을수록 주어진 Input 신호를 더 큰 사운드로 재생

Impedence : 낮을수록 더 큰 소리 재생

4. 최대 SPL (Sound Pressure Level)

: 출력음압레벨

출력음압 : Amp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소리로 바꾸는 스피커의 능률

1W Input >> (1m) >> 1m에서 측정했을때 얻을수 있는 음압레벨

+ 일정 위치에서 일정한 파워를 공급했을때 스피커가 재생할 수 있는 SPL

5. 신호 대 잡음비, SNR (Signal to noise ratio)

: 동일 조건일때 수치가 높을수록 좋음

 

6. Amp Class

Class - A : 왜곡과 소음 측면에선 우수, 효율 안좋음

Class - B : 매우 효율적, 왜곡 심하고 신호 품질이 낮음

Class - AB : Class A와 B의 중간 정도의 효율, 왜곡과 소음이 낮음

Class - D : 가장 효율적, 고음 손실이 있음, 스피커 부하에 따라 오디오 품질이 안정적이지 않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