회로 설계 시 Audio Noise 는 크게 Power Noise, RF Noise 총 2가지로 나누어진다. 

 

- Power Noise

  : Bead 나 Inductoe 로 제거

 

- RF Noise

  : Bypass Capacitor로 제거

    주로 1GHz >> 100pF 사용

             400~500MHz >> 33pF 사용

 

Noise Frequency에 따라 맞는 부품을 사용하면 되지만,

되도록이면 33pF 미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. 

너무 높은 Cap 은 Analog Signal을 제거할때 Noise 는 물론 Audio Signal 까지 Bypass 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됨 >.~

 

집가고싶다...

집가서 축구보면서 대방어 먹어야지

'Study > Audi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udio] Audio Analyzer로 SNR 측정하기  (2) 2023.11.20
[Audio] Audio Amp Class 구분  (0) 2023.11.16
[Audio] Mono vs Stereo  (0) 2023.11.16
[Audio] MEMS Analog vs Digital  (0) 2023.11.16
[Audio] Noise Cancellation  (0) 2023.11.16

Noise 환경에서 송수신 시 ANC ON/OFF 에 따른 SNR을 측정해달라고 하셨다. 

 

  • SNR (Signal to Noise Ratio, S/N)

    : 신호 대 잡음비 

    SNR (dB)  = 10 * log (Signal Power / Noise Power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20 * log (Signal Voltage / Noise Voltage)

 

    SNR이 높을 수록 Siganal 과 Noise의 차이가 크므로 Signal이 명확하다 (좋은거임)

 

Analzer 로 SNR 측정은 제품에서 출력되는 Noise에 대한 SNR을 측정하는데,

Noise 환경에서의 ANC ON/OFF 시 Noise Cancellation 이 얼마나 되는지 SNR 수치로 확인해보자는 목적이다. 

 

일단, Noise 환경에서 아무런 출력도 없이 수신 받는 단말에 Output의 Vrms 또는 P 측정한다. 

즉 Noise Power 또는 Noise Signal 을 측정한다. 

난 Noise Generator를 통해 White Noise 110dB 환경을 만들어주었다. 

 

이후 Noise 환경에서 Ref.signal을 주어 수신 받는 단말의 Output의 Vrms 또는 P를 측정한다. 

Reference Signal은 주로 1kHZ sin wave를 주지만, 

ANC ON / OFF 시 Noise Cancellation 이 되는지 확인하려고 하는것이기 때문에 혹시나 sin wave 를 Noise 로 인식하고 Cancellation 될 수 있을까봐 여성, 남성 음원으로 측정을 하였다. 

 

Audio Analyzer로 SNR 측정 시

Ref.signal을 sin wave로 하면 바로 Voltage나 Power 가 일정하게 나와 바로 Monitoring 하여 RMS Level 를 확인하면 되지만,

사람의 음성 같이 Signal 이 일정하지않아 Voltage와 Power 가 계속 변하게 된다면 일정 시간동안 RMS Level 을 측정 후 AVG 값을 통해 계산한다. 

Measurements - Recoder 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 start 하면 grape 및 data 를 jpg, excel 로 변환할 수 있다. 

추출한 excel에서의 data들의 AVG 계산 해준다. 

 

각각 Signal과 Noise의 RMS Level를 측정을 완료하였다면 위 공식과 같이 계산하면 SNR 값을 구할 수 있다. 

 

측정결과, 

ANC 기능은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였다. 

ANC를 OFF하였을때 SNR(dB) 값이 음수로 나오면서 Noise 신호가 많이 유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. 

실제로 들었을때에도 110dB 환경에서의 Noise 유입이 많이 들리긴하였다. 

그러나 ANC ON 하였을 때 Noise 가 많이 제거되었으나 음성이 뭉게지면서 들렸다. (이건 SW tuning 영역이니...pass..)

 

암튼 그렇다~

그럼 20000 :-D

 

'Study > Audi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udio] 회로 설계 시 Audio Noise  (2) 2023.11.21
[Audio] Audio Amp Class 구분  (0) 2023.11.16
[Audio] Mono vs Stereo  (0) 2023.11.16
[Audio] MEMS Analog vs Digital  (0) 2023.11.16
[Audio] Noise Cancellation  (0) 2023.11.16

DSD랑 BRD 연동하는거 맨날 헷갈려서 적어봄...

1. DSD, BRD 동일 디렉토리에 저장

2. [DSD] Option - Preferences - Miscellaneous - Enable Intertool Communication Check.

3. [DSD] Tool - Create Netlist Check.

Netlist File Director : allergro 로 설정

확인 눌러서 Process 창 뜨면서 완료되면 allegro 디렉토리(Net List) 생성됨.

 
 

4. [BRD] File - Import - Logic

Import Directory 에 Net List 만든 allegro 디렉토리 경로 복사 후

Import Cadence.

 

5. 이제 끝 연동됨.

맨날 헷갈림... 까먹지말자 ^^

'Program Tool > Allegr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llegro] PCB 선(?) 지우기  (1) 2023.11.16

주의 !! 매우간단함. 별거없음 주의. 내가 바보임.

Orcad PCB Tool 은 한번도 안써봐써 ㅠㅠ

LM75 EVB 보드 Decal 검토하려고 하는데 이유모를(사실 나만 모름) 선이 있어서 부품 Decal 이 가려져서 잘 안보였다.

인터넷에 찾으면 금방 나올줄알고 혼자 막 찾고 있었다.

고민의 흔적

책임님이 지나가시다가

책임님 : 이거 누르면돼...

나 : 헉 ... 안그래도 찾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

책임님 : ㅎㅎ...

 

Unrats All

 

버튼 하나 누르면 되는걸 혼자 뒤적뒤적 하고있었다..

정말 너무 별거 없어서 민망함 (처음 써보는걸...ㅎㅎ)

금붕어 기억력인 나는 까먹을까봐 일단 글 올려봄 ^.~

퇴근하고싶으나 야근 파이링

 

'Program Tool > Allegr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llegro] Or CAD DSD File, BRD File 연동  (5) 2023.11.16
  • TDD (Time Domain Duplex)

동일한 주파수를 가진 2개의 신호를 시간차를 두고 송수신 신호가 교대로 같은 경로로 이동 (ex, CD폰)

  • FDD Frequency Domain Duplex)

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다르게 사용 (ex. CDMA, AMPS)

시간차를 두지 않아도 됨.

그러나 안테나 2개 필요하나 (Tx, Rx), Duplexer가 있으면 안테나 1개로 송수신을 할 수 있음

  • Duplexer

같은 안테나를 이용하면서 송수신단을 분기하는 역할

용어 가끔 헷갈려서 적어봄...

Mobile AP

: 기기 구동에 필요한 CPU, GPU, Modem, VPU, DSP 등이 하나에 포함된 Chip

- CPU (Central Processing Unit)

: 중앙처리장치,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 놀리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

- GPU (Graphics Processing Unit)

: 그래픽 처리 장치

- Modem

: 3G나 LTE, WiFi 등 인터넷 연결

- VPU (Video Processing Unit)

: 공중파를 통해 4K UHD 실행

- DSP (Digital Signal Processor)

: 디지털 신호 처리 (오디오 신호처리, 비디오 신호처리)

아날로그 신호 -> [A/D] -> 디지털 신호로 연산 (필터링, 스펙트럼 등 신호처리)

- ISP (Image Signal Processor)

: 디지털 카메라에 들어가는 이미지 처리 장치

- 그외

: GPS, GLONASS 위치정보

: ASP (Audio Signal Processor)

 

Rotary Encoder Switch

: 회전 및 누름 동작.

5개의 핀으로 동작

- CLK, DT(회전)

: Switch를 돌리면 스위치 내부에 있는 기어 모양의 로터리 엔코더가 회전하고, 그것과 맞닿은 2개의 신호핀 (A, B / CLK, DT) 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신호를 발생시켜 회전으로 인식 (자세한건 그림 참고)

- SW(누름) : Push switch, 누르면 low로 인식

- VCC, GND

 

Audio Amp Class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상황에 맞게 Class 를 선정하도록 한다. 주로 사용하는 Class 위주로 정리해보았다.

  1. Class A
  • TR 1개 사용
  • +, - 신호를 한번에 +로 증폭 시켜 손상없이 증폭 됨.
  • Amp 에 Current 계속 흐름 (상시전류)

이로 인해 전력소모가 커지고 발열이 매우 심함.

  • 그러나 왜곡이 거의 없고 힘이 좋음.

2. Class B

  • TR 2개를 사용하여 신호가 들어올때마다 각각 증폭되어 Class A보다 효율이 좋음
  • 그러나 +, - 각각 변화하기 떄문에 그 과정에서 왜곡이 생길 수 있음. 이로인해 음질이 저하 될 수 있음.

3. Class AB

  • 일정 출력까지는 Class A로 동작하나 특정 벗어나는 출력이 되면 +, - 각각 따로 증폭된다 (Class A + Class B 장점 합침)
  • 어느 정도 상시 전류가 있찌만 특정 전력 이상에서는 신로가 들어올때만 반응하도록 한다.

4. Class D

  • 디지털 앰프라고도 함.
  • PWM (Pulse Width Modulation) 방식 사용 (PWM 신호를 증폭)
  • 열이 거의 나지 않으며, 90%이상의 효율로 가장 좋음
  • 그러나 디지털 소자에서 빠르게 변화하다보니 노이즈가 발생함.

(그렇기에 노이즈 제거 필터가 필요함)

5. Class H

  • 오디오 신호에 따라 전압을 변경할 수 있어 저전력 구현에 적합함.
  • 출력장치 전체의 손실이 줄어들고 증폭기가 출력 전력 수준에 관계없이 최적화된 Class AB 효율로 작동함.
  • 그러나 회로 설계가 복작하고 공급전압을 예측하는데에 추가 제어 회로가 필요함.

'Study > Audi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udio] 회로 설계 시 Audio Noise  (2) 2023.11.21
[Audio] Audio Analyzer로 SNR 측정하기  (2) 2023.11.20
[Audio] Mono vs Stereo  (0) 2023.11.16
[Audio] MEMS Analog vs Digital  (0) 2023.11.16
[Audio] Noise Cancellation  (0) 2023.11.16
  1. Mono (Monaural 혹은 Monophonic Sound)

1개의 채널, 하나의 마이크를 통한 녹음,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듣는 소리

스피커가 2개여도 mono로 된 오디오 (1채널)을 재생하면 mono로 들린다.

SPK L, R 소리 동일함.

2. Stereo (Stereophonic Sound)

동시에 하나 이상의 SPK에 맞춰 데이터를 사용하는 2채널 재생 및 녹음

스피커 2개에서 서로 다른 소리(신호)를 출력함으로써 물체의 이동 등 현실적으로 실감나게 들려줌 (ex. 공간음향 같은 기능)

SPK L, R 소리 다름

'Study > Audi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udio] Audio Analyzer로 SNR 측정하기  (2) 2023.11.20
[Audio] Audio Amp Class 구분  (0) 2023.11.16
[Audio] MEMS Analog vs Digital  (0) 2023.11.16
[Audio] Noise Cancellation  (0) 2023.11.16
[Audio] Speaker 성능  (0) 2023.11.16

1. MEMS Analog 설계

호스트 시스템 내에서 아날로그 처리를 위해 증폭기의 입력이 연결될 때 편리함. ADC가 없어 Digital 보다 전력 소비가 낮음.

2. MEMS Digital 설계

마이크로 컨트롤러나 DSP(Digital Signal Processor) 와 같은 디지털 회로에 신호가 적용할때 유리함.

MIC와 호스트 회로 사이의 컨덕터가 전기적으로 잡음이 많은 환경에 있는 경우 유리함.

아날로그보다 더 큰 전기적 잡음 내성이 나타남.

ADC 필요, PDM (Digiral Incoding) 필요.

'Study > Audi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udio] Audio Analyzer로 SNR 측정하기  (2) 2023.11.20
[Audio] Audio Amp Class 구분  (0) 2023.11.16
[Audio] Mono vs Stereo  (0) 2023.11.16
[Audio] Noise Cancellation  (0) 2023.11.16
[Audio] Speaker 성능  (0) 2023.11.16

+ Recent posts